월세는 계속 오르고, 전세는 부담되고… 서울에서 혼자 사는 청년이라면 **주거비가 가장 큰 고민**일 겁니다.
그런데 놓치고 있는 건 아닐까요? 서울시와 정부는 실제로 청년을 위한 **다양한 주거지원 정책**을 운영하고 있습니다. 단순 임대뿐 아니라 **이사비, 월세, 전세보증금까지 다방면 지원**이 가능하죠.
이 글에서는 서울 청년 주거정책의 주요 혜택, 신청 조건, 신청처를 한눈에 정리해드립니다.
1. 청년 월세 지원 (서울형 청년월세)
서울시에 거주 중인 무주택 청년에게 월 최대 20만 원의 월세를 **최장 10개월간 지원**하는 정책입니다. 본인 소득이 중위소득 150% 이하, 임차보증금 5천만 원 이하, 월세 60만 원 이하일 경우 신청 가능하며, 별도의 전입 요건도 적용됩니다.
지원금은 현금이 아닌 계좌 입금 방식으로 지급되며, 소득 조건과 주거 요건 충족 여부를 기준으로 선발됩니다. 연 1회 공고 후 접수.
2. 청년 부동산 중개보수 + 이사비 지원
서울 내 이사를 진행한 청년에게 **부동산 중개수수료 + 이사 비용 최대 40만 원**까지 실비 지원하는 제도입니다. 생애 1회만 신청 가능하며, 전입 기준일(2023.1.1 이후 서울 전입 or 이동)이 핵심 조건입니다.
2025년 상반기 기준, 4월 1일~14일까지 청년몽땅정보통 사이트를 통해 온라인 접수가 진행되고 있습니다.
3. 청년 전월세 보증금 지원 (서울시 & LH)
보증금이 부담되는 청년을 위해 **서울시 또는 한국토지주택공사(LH)**에서 대출 형식으로 지원하는 제도입니다.
- ✔️ 서울시 청년 임차보증금 지원: 최대 7천만 원, 연 1.2% 고정금리
- ✔️ LH 청년 전세보증금 대출: 최대 1억 원, 연 1.5~2%
거주 요건, 보증금 조건, 소득 기준 등이 있으며, **동시 중복지원은 제한**됩니다. 온라인 사전 자가진단 후 접수 가능.
4. 역세권 청년주택 & 청년 매입임대
청년 대상 공공임대주택도 꾸준히 공급되고 있습니다. 특히 교통 접근성이 좋은 곳을 선호하는 청년들에게는 역세권 청년주택이 인기입니다.
✔️ 임대료 시세의 60~85% 수준 ✔️ 보증금 및 월세 모두 낮음 ✔️ 청년 매입임대는 LH나 SH에서 공급하며, 우선순위 조건 있음
모집 공고는 비정기적으로 올라오기 때문에, **LH, SH공사, 서울주택도시공사 공고 페이지 상시 확인**이 필요합니다.
5. 2025년 서울 청년 주거정책 요약 비교표
정책명 | 지원 내용 | 한도 | 신청처 |
---|---|---|---|
청년 월세 지원 | 월세 계좌입금 | 최대 20만 원 × 10개월 | 서울청년포털 |
중개보수+이사비 | 실비 정산 | 최대 40만 원 | 청년몽땅정보통 |
보증금 지원 | 저리 대출 | 최대 7천만~1억 원 | 서울시/LH |
공공임대 | 역세권·매입임대 | 시세 60~85% | SH/LH |
마무리 요약 – 지금 받을 수 있는 혜택, 하나라도 놓치지 마세요
서울 청년을 위한 주거지원 제도는 단순 주택 공급을 넘어서, **이사비, 보증금, 월세까지 실질적인 비용 부담을 줄여주는 구조**로 잘 짜여 있습니다. 중요한 건 '신청기간'과 '내 조건에 맞는 제도'를 제때 확인하는 것이고, 지금이 바로 그 타이밍입니다.